만남이 던져 주는 실질적인 임팩트. 🦀

만남의 힘.💪
대만에 어느 처녀 총각이 있었다.
총각은 처녀를 엄청 많이 사랑했다.
하지만 이 둘은 직장 관계로
멀리 떨어져 있었기에
만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총각은 처녀에게
사랑의 편지를 보냈는데
얼마나 많이
보낸 줄 아십니까?
자그마치 2년여 동안
약 400여 통의 애정이 담긴
편지를 보냈다고 한다.
대단한 연인 관계지요?
드디어 2년 후 이 처녀가
결혼에 골인을 했다 하는데요.
누구랑 결혼했을까요?
당연히 400통의 편지를 보낸
그 총각 이라고요?^^
'땡’입니다. 아닙니다.
그러면 누구하고 결혼 했을까요?
400번이나 편지를 배달한
우편 배달부와 결혼을 했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는
편지의 힘(사랑)보다는
만남의 힘(사랑)이 더 강하고
임팩트 있다는 걸 알려줍니다.
이런 것을 심리학에서는
‘단순 노출효과 이론
(Mere exposure Effect Theory)’
이라고 합니다.
로버트 자이언스(Robert Zajonc)
라는 사람이 연구한
'호감 이론'이라는 것인데
‘사람을 자주 보게 되면
자연스럽게 호감을 갖게 된다’라는
이론입니다. 쉽게 말해서
‘자주 보고, 자주 만나면
어느새 정이 든다’는 뜻 인거죠.
그래서 한 번도 만나지 않고
편지만 400통 보낸 남자 보다는
한 번도 편지를 안 썼지만
400번이나 그 처녀와 만난
우편 배달부가 결혼에 골인한 것입니다.
어찌보면 참 어이없고 아이러니 하죠.
☘️⚘️🍀🌷🌵🌻🌴🥀🌾🌺🌳🪷
가족도 지인도 친구도 아니
인생사가 다 마찬가지 인거죠.
저는 백문이 불여일견 이란
격언이 딱 들어맞는 글 이지 싶네요.
아무리 허물없이 친하고
가까운 사이라 해도
만남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겉은 잘 삶아 진듯 보이지만
실제로 속은 다 썩어 아무 쓸모없는
삶은 계란과 다를바 없을 듯 싶은거죠.
여러가지 사정이라는 핑계로
일 년에 한두 번 만날까 말까한
사이라면 그 누구를 막론하고
서먹서먹하기 마련 인데요.
이것은 말로는 부랄 친구니
소꿉 친구니 해도 실상은
속빈 강정일 수 있다는 거죠.
자주 만나는 사람이 어쩌다 한번
보는 사람 보다도 더 할말이 많고
더 즐거운 법이 잖아요.
가까운 곳에 길이 있다고 그동안
만나온 년수는 중요하지 않은거죠.
늘 곁에서 함께 재잘재잘 기쁘나
슬프나 등이 되고 팔이되어
서로 보듬어 주는 사이가
찐~인 거 잖아요.
자 지금 부터라도 평생
나와 함께할 내 바운더리의
사람 이라면 자주 연락하고 만나고
또 토킹하는 타임의 중요성을
우린 다 알고는 있잖아요.
더 늦기전에 더 멀리 가기전에
친구던 가족이던 지인이던 연인이던
함께하며 소중한 만남의 시간들
되시길 바램 합니다.
나만의 뜨거운 심장과 애정이
나마스떼,,😁
좋은 밤 되세요^^
